반응형
안드로이드 진단때 필수적으로 하는 과정이 소스코드 분석이다.
소스코드 분석 시 사용하는 툴이 대표적으로 2~3가지가 있는데
Jadx, Jeb, IDA 등이 있다.
jadx가 가장 포터블하게 가볍고 빠르게 소스코드 분석을 할 수 있었다.
https://github.com/skylot/jadx/releases
하지만 1.3 버전이 새로 나오면서 많은 기능이 생기고 그만큼 잡아먹는 리소스도 많아졌는데
나도 apk 디컴파일 시 메모리가 부족하다는 에러가 발생했다.
반응형
jadx-gui.bat 파일을 수정
노트패드로 열게되면 아래와같은 배치 코드들이 주루룩있는데
봐야할 곳은 Xms 및 Xmx
디폴트값으로 뭐 4G저런식으로 되어있는데
Xms = 2500M , XmX = 10G로 맞춰준다. (컴퓨터 사용환경에 따라 대충 높여주면됨)
그럼 jadx에 할당되는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나고 디컴파일이 잘된다.
국내에는 해결 방법이 포스팅된 글이 안보여서 남김
반응형
'모바일 > 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ndroid] Magisk(매지스크) 업그레이드 헬조선 Magisk (feat. TWRP) (1) | 2022.04.15 |
---|---|
[Android] 안드로이드 apk 메소드 추적 프리다 트레이스 (Frida Trace) (2) | 2022.04.14 |
[Android] Msfvenom과 MetaSploit을 이용한 악성앱 (5) | 2022.03.17 |
[Android] 화면 캡처 방지 우회 및 안드로이드 미러링 (scrcpy 에러) (2) | 2022.02.15 |